생활 팁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 신고 및 세금 계산 방법 정리 2025

newworld72 2025. 4. 22.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 신고 및 세금 계산 방법 정리 2025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는 사업자가 근로자에게 급여나 소득을 지급할 때, 그 소득세와 함께 **지방소득세를 함께 원천징수**하여 납부하는 제도입니다. 특별징수 의무자는 근로소득, 퇴직소득, 사업소득 등을 지급하면서 소득세를 원천징수할 경우, **소득세의 10%를 추가로 지방소득세로 신고·납부**해야 합니다. 2025년 현재, 매월 급여를 지급하는 모든 사업자는 해당 월의 지방소득세 특별징수를 익월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해야 하며, 미신고·미납 시 가산세가 부과됩니다.

 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란?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는 ‘특별징수의무자’가 종업원에게 급여, 퇴직금, 인건비 등의 **과세소득을 지급하면서 소득세를 원천징수할 때 함께 지방소득세도 징수하여 납부하는 방식**입니다. 소득세법상 원천징수의무자가 곧 지방소득세 특별징수의무자가 되며, 지방자치단체에 별도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.

신고 대상과 납세 의무자

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자는 특별징수 신고 및 납부의무가 있습니다:

  • 근로소득세, 퇴직소득세, 사업소득세 등을 원천징수한 사업장
  • 사업자등록을 보유한 법인 및 개인사업자
  • 정부기관, 공공기관, 학교, 비영리법인 등도 포함

종업원이 한 명이라도 있고 급여를 지급하는 사업장이라면 매월 신고 의무가 발생하며, **소득세 신고와는 별도로 지방세 포털에 신고**해야 합니다.

세금 계산 방법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 세액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:

지방소득세 = 원천징수한 소득세 × 10%

▶ 예시: - A 직원의 소득세 원천징수액 = 150,000원 - 지방소득세 = 150,000원 × 10% = **15,000원**

매월 급여 지급일 기준으로 원천징수한 소득세 합계 × 10%를 계산하여, 다음 달 10일까지 관할 지자체에 신고·납부하면 됩니다.

신고 방법 및 절차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는 아래 절차에 따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신고 가능합니다:

  1. 지방세 포털 위택스(wetax.go.kr) 또는 서울시 사업자는 이택스 접속
  2. 회원 로그인 또는 인증서 로그인
  3. [지방소득세] → [특별징수분] 신고 선택
  4. 사업장 정보, 급여지급월, 종업원 수, 소득세 총액 입력
  5. 지방소득세 자동 계산 → 납부금액 확인 후 납부

급여 지급이 없는 달에도 ‘무실적 신고’를 해야 하며, 신고 누락 시 가산세 대상이 됩니다.

 

신고 기한 및 납부 유의사항

매월 지급한 소득에 대한 지방소득세 특별징수는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. 주요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기한 내 신고·납부하지 않으면 **무신고 가산세(20%)**, **납부불이행 가산세(3%+연체이자)** 부과
  • 급여를 지급하지 않은 달도 무실적 신고 필요
  • 지방소득세 신고는 소득세 신고와 별도이므로 이중으로 챙겨야 함
  • 사업장이 여러 지자체에 있는 경우 각각 분리 신고

요약

지방소득세 특별징수는 원천징수한 소득세의 10%를 매달 신고·납부하는 지방세입니다.
신고 대상은 종업원에게 급여나 퇴직소득을 지급하는 모든 사업장입니다.
계산 방식은 ‘소득세 × 10%’이며, 매월 다음 달 10일까지 위택스 등을 통해 신고합니다.
신고 누락, 미납 시에는 가산세와 연체이자가 부과되므로 기한 엄수가 중요합니다.
무실적 신고도 필수이므로 급여가 없더라도 매월 체크해야 합니다.

댓글

💲 추천 글